본문 바로가기

2024 군인 유족연금 대상, 지급액 제도 안내

군인혜택 2024. 7. 31.

군인 유족연금은 군인 가족의 경제적 안정을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군 복무 중 사망하거나 퇴역 후 사망한 군인의 가족들은 유족연금을 통해 생활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4년 군인 유족연금 제도의 대상 및 지급액등 세부 제도를 다루어보겠습니다.

 

1. 유족의 범위

군인연금 유족 대상
군인연금 유족 대상

2024년 군인 유족연금 제도에서는 유족의 범위를 명확히 규정하고 있습니다. 유족연금의 지급 대상에는 배우자, 자녀, 손자녀, 부모, 조부모가 포함됩니다.

  • 배우자: 사실혼 관계에 있던 자도 포함되며, 퇴역 후 61세 이후에 혼인한 경우는 제외됩니다. 복무 중 배우자와 재결합한 경우에는 유족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자녀: 만 25세 미만의 자녀는 유족연금을 받을 수 있으며, 장애인 자녀(1~7급)는 연령 제한 없이 유족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만 61세 이후 출생하거나 입양된 자녀는 제외됩니다.
  • 손자녀: 부모가 없거나 부모가 상이등급(1~7급)인 경우, 만 25세 미만의 손자녀와 장애인 손자녀는 유족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부모: 퇴역일 이후 입양된 부모는 유족연금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조부모: 퇴역일 이후 입양된 조부모도 유족연금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유족연금 지급액

군인연금 유족 상담 하는사진상담 하는사진노부부 상담하는 사진
군인연금 유족 상담

군인 유족연금의 지급액은 기본 연금액의 70% 기준으로 합니다. 2013년 7월 1일 이후 임관자는 지급액이 60%로 조정됩니다. 만 25세 미만의 자녀와 연령 제한이 없는 장애인 자녀의 경우 지급률은 70%로 유지됩니다. 이는 유족연금을 받을 자격이 있는 손자녀에게도 적용됩니다.

예시: 부부군인이 각각 군인연금을 받던 중 남편이 사망한 경우, 유족연금 지급액은 남편의 연금의 70%에서 50%가 감액된 후 지급됩니다. 따라서 남편 사망으로 인한 유족연금은 300만원의 70%인 210만원의 절반, 즉 105만원이 지급됩니다.

 

3. 유족의 우선순위

2024 군인 유족연금2024 군인 유족연금 우선순위
2024 군인 유족연금 우선순위

유족연금의 지급 우선순위는 민법상의 재산상속 순위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는 유족연금 제도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 직계비속: 직계비속이 직계존속보다 우선합니다. 배우자는 직계비속과 동순위로 취급됩니다. 예를 들어, 자녀와 배우자가 동시에 있을 경우, 자녀와 배우자는 동일한 순위로 유족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동순위자: 동순위자가 여러 명일 경우, 최근친이 우선합니다. 예를 들어, 자녀가 손자보다, 부모가 조부모보다 우선합니다.
  • 유족의 권리 승계: 유족이 재혼하거나 사망하는 등의 사유로 자격을 상실하면, 동순위자나 차순위자가 유족연금의 권리를 승계합니다.

유족연금 청구 및 신청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반드시 우편으로 제출해야 하며, 원본 자필 서류가 필요합니다.

유족이 있는 경우: 유족연금 청구

  • 필요 서류: 유족연금청구서, 통장사본, 사망진단서 또는 사망사실이 기록된 기본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사망자 기준, 상세), 혼인관계증명서(사망자 기준, 상세), 유족대표자선정서(위임자 신분증 사본 포함), 유족급여등분청구서

유족이 없는 경우: 연금수급권상실 신고

  • 필요 서류: 연금수급권 상실 신고서, 사망진단서

군인연금제도안내서(2024년).pdf
5.94MB

 

 

 

2024년 군인 유족연금 제도는 군인 가족의 경제적 안정을 돕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유족의 범위, 지급액, 우선순위에 대한 이해는 유족연금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 정보를 통해 유족연금을 정확히 이해하고 적절히 청구하여 혜택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2024군인연금분할 배우자 이혼 연금 분할 조건 및 절차

특히 군인연금 배우자에게는 이혼 시 재정적으로 중요한 연금 분할 문제가 있습니다. 2024년 현재 군인연금 배우자에게는 퇴직연금을 분할받을 수 있는 여러 조건과 방법이 존재합니다. 이 글에

pxlove.tistory.com

 

댓글